보수 (1의 보수, 2의 보수)
우선 컴퓨터는 덧셈 밖에 못한다.
만약 A – B 를 처리하는 방법은 A + (-B) 이런식으로 처리한다.
1의 보수 (0과 1의 순서를 바꿈)
: 10101(2) -> 01010(2)
2의 보수
: 1의 보수 +1
컴퓨터는 음수를 2의 보수로 표현한다.
: 10101(2) - 01101(2) / 21 - 13
우선 01101을 ‘1의 보수 + 1’
즉, 2의 보수로 만든 다음에 최상단 비트의 반올림이 존재할 경우 최상단 비트 1을 버린다.
: 즉, 10101(2) - 01101(2) -> 10101(2) + 10011(2) = 10 1000 로 나오고 최상단 1을 버리면 01000 즉 8이라는 값이 나온다.
Q. 4비트는 즉, 16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음. 근데 보통 4비트의 최상단 비트는 부호 비트라면 이거 빼면 2^3승(8가지)까지만 표현 가능한건가??
--> 아니다. 최상단의 부호비트가 1일 경우 –(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8 ~ 7 까지 총 16개 표현 가능.
반응형
'보안&네트워크 > 기타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메일 SMTP 설정 열기 = 파이썬에서 본인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메일 보내는 방법을 위한 설정 (feat : 네이버메일 ) (0) | 2024.08.19 |
---|---|
Chrome/크롬, Edge/엣지 다른 포트(Port)로 열기 (0) | 2024.08.12 |
하드디스크 (0) | 2022.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