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rayList5

자바 컬렉션 (Set, List, Map) 자바 컬렉션 - 컬렉션은 자료형이 다른것도 담을 수 있다 - 컬레션은 동적인 배열로써 자료의 추가, 삭제가 용이하다 - 데이터를 담는 것 만큼 혹은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 만큼 자동으로 크기가 늘어나고 줄어든다 Set 중복된 자료를 허용하지 않음 HashSet - 중복불가, 순서를 유지하지 않음 LinkedHashSet - 중복불가, 순서 유지 TreeSet - 정렬시켜줌 TreeSet에서 유용한 함수 1. subSet(1, 10) - set 배열에서 1~9가지의 숫자를 반환 가능 List 중복된 자료를 허용 , 순서 유지 ArrayList - 중복된 자료를 허용 , 순서 유지 LinkedList - 중복된 자료를 허용 , 순서 유지 이 두개는 사용법이 동일하나 내부 로직이 조금 다름. ArrayList에.. 2022. 4. 9.
(Java)10일차 예외 처리( try~catch ) try { 정상 명령문; } catch(예외 클래스 e) { 예외 시 명령문; } catch(예외 클래스 e) { 예외 시 명령문; } 프로그램 실행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예기치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예외"라고 하며 이것을 처리하는 것을 "예외 처리"라고 한다. 자바에서 range 범위 초과나 기타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예외처리를 하여 오류 시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나의 try 안에 여러개의 catch가 올 수 있다. 근데 각 동작마다 예외처리를 주게되면 너무 타이트하고 코드 가독성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이므로, 가장 부모 클래스인 Exception하나만 이용하여 모든 예외처리를 할 수 있다. 근데 또 이렇게 되면 너무 .. 2022. 4. 8.
(Java) 5일차 for each 배열의 요소만큼 반복 증감식 따로 선언 X (자료형 변수에서 알아서 선언되어 있음.) 자료형 변수의 초기 인덱스는 1부터 시작함으로 주의할 것(0부터 아님) int []data = {10, 20, 30, 40, 50}; for ( 자료형 변수명 : data ){ 명령어 } //-> data 배열의 길이가 5므로 5번 반복 ArrayList 배열을 동적으로 생성 가능함 ArrayList ArrayTest= new ArrayList(); ArrayTest.add(입력 값); //동적으로 배열을 계속 넣을 수 있음 ArrayTest.get( i ) // 넣었던 입력 값을 배열의 값을 가져옴 문제 : 성적을 입력 받아 합계, 평균을 출력하시오 성적을 입력 받아 합계, 평균을 출력하시오 -1이 나.. 2022. 4. 1.
p130) 12번 문제풀이 - 성적 입력 후 합계 및 평균 구하기(ArrayList사용) ArrayList ArrayList ArrayTest= new ArrayList(); ArrayTest.add(입력 값); //동적으로 배열을 계속 넣을 수 있음 ArrayTest.get( i ) // 넣었던 입력 값을 배열의 값을 가져옴 ArrayTest.size( ) // 배열의 크기 반환 성적을 입력 받아 합계, 평균을 출력하시오 성적을 입력 받아 합계, 평균을 출력하시오 -1이 나오면 성적 입력 stop 입력 값 & 출력 값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ArrayList n = new ArrayList(); int data; while(true){ System.out.println("성적을 입력하세요"); data = sc.nextInt(); if (data .. 2022. 4. 1.
(Java) n차원 배열, ArrayList 일반 배열 자료형이 같은 기억장소의 모임 int [ ]변수명1; // 배열의 선언 변수명1 = new int [ 배열의 개수 ]; // 배열의 생성 int []student= {28,23,27,26,26}; //배열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까지 2차원 배열 2차원 배열에서 length는 행의 길이임 int [][]b = new int[4][3]; // 4*3 배열 생성 문) 아래와 같이 출력 할 것 //5행 5열의 정수형 2차원 배열을 생성하고, 1부터 1씩 증가한 값을 저장 //조건 1: 맨 마지막 열에는 각 행의 합이 누적 되도록하고 //조건 2: 맨 마지막 행에는 각 열의 합이 누적되도록 함 //조건 3: 그리고 마지막 행 열에는 모든 요소의 총 합이 누적 되도록 함 // 0 1 2 3 4 // 0 .. 2022. 3. 30.
반응형